본문 바로가기
IT 지식정리/스토리지

Storage Area Network 의 이해 8: SAN과 재난복구 2012. 4. 1.

by G. Hong 2017. 11. 4.
728x90
반응형
재난복구를 영어로 쓰면 Disaster recovery 입니다. 즉, 스토리지나 시스템 분야에서 흔히 사용하는 DR을 뜻합니다.
DR과 더불어 자주 사용하는 용어가 BCP(business continuity plan)입니다. 
DR은 어떠한 충격으로부터 다시 회복하는 계획을 말하는 것이고, BCP는 그러한 충격이 주어지는 동안에도 계속 업무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을 뜻합니다.

다운타임
다운타임이란, 계획의 유무를 떠나서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는 모든 시간을 뜻합니다. 이 시간 동안에는 모든 업무가 중단되기 때문에 다운타임은 비용의 손실과도 직결이 되는 문제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운타임에 민감한 업체일 수 록 DR플랜에 더욱 신경을 써야하는 이유입니다. 
제가 참고로 하는 자료에 따르면 에너지와 통신업체들의 다운타임이 가장 비용손실이 크다고 합니다.

RTO(Recovery Time Object) : 시스템을 원래 상태로 복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뜻합니다. SAN을 구성시에 특히 DR site를 구성할 때는 RTO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RPO(Recovery Point Object) : RPO는 재난이 있기 전 마지막으로 전송한 데이타를 의미합니다. 뛰어난 SAN일 수록 백업이 자주 되어 재난 시에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DR 계획시 고려해야할 사항
- 데이타 크기와 교체주기
- DR센터까지의 거리와 전송지연시간
- 허용가능한 데이타 손실양
- 속도
- 어플리케이션 의존도
- 사용하게될 서버 및 하드웨어의 수량

이들 중에 가장 중요한 부분은 거리와 속도 그리고 지연시간입니다.
위의 내용들 이 외에도 실제로 더 자세한 계획을 위해서는 예산, 사용방식, 스태프 등과 같은 부분도 고려하여야 합니다.

시설
DR센터의 시설을 선택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재난이라는 비상시를 대비한 곳이니 특히 더 그런데요.(한국에는 특별히 큰 재난이 많지 않은데요.. 일본이나 미국의 일부 허리케인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은 DR센터의 시설 역시 크게 신경써야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장비를 둘 수있는 공간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직원들을 위한 주차공간과 주차공간의 조명상태
-건물의 출입구 갯수와 안전
-건물 출입에 보안카드 사용여부 (비상시에 출입하지 못하는 일이 생길 수 도 있습니다)
-비상시 직원이 출입하기 위한 과정
-건물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을 때가 있는지
-빠른 네트워크사용이 가능한지

Co-location 시설 : Co-location시설은 한 시설에서 여러 회사가 함께 DR센터를 사용하는 형식으로 주로 IT회사나 아웃소싱 회사에서 운영 및 관리를 하는 곳입니다. 자체 DR센터를 가지기 힘든 경우에는 co-location 시설을 운영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데이타 복제 방법의 선택
데이타 복구를 위한 복제를 위한 방법에는 호스트기반,  어플라이언스기반, 어레이기반, 그리고 테입을 이동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호스트기반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들어서 작은 규모의 기관에게 적합합니다.
암호화가 힘들고, 호스트가 많은 백업을 수행하게되면 CPU에 부하가 생길 수 있습니다.
서버가 몇 개 없는 규모의 사이트에 적합합니다.

- 어플라이언스기반
어플라이언스 기반의 솔루션은 SW솔루션과 함께 제공이 됩니다.
중복제거, 암호화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퍼포먼스 이슈나 보틀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어레이기반
빠른 속도와 FC환경에서는 최적의 솔루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메인프래임와 같은 환경에 적합합니다.

- 테입을 이동하는 방법
테입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WAN을 필요로하지 않고, 비용이 적게드는 것 과 같은 장점이 있지만 RTO가 굉장히 길고 테입을 보관 및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의 방법들 중에 적합한 DR 솔루션을 선택한 뒤에는 반드시 주기적인 테스트를 통한 점검은 필수 요소입니다!! 


728x90
반응형